6. 객체와 자료구조

변수를 비공개로 정의하는 이유 -> 남들이 변수에 의존하지 않게 만들고 싶어서

자료 추상화

구현을 감추려면 추상화가 필요하다. 추상 인터페이스를 제공해 사용자가 구현을 모른 채 자료의 핵심을 조작할 수 있어야 진정한 의미의 클래스다. 자료를 세세하게 공개하기 보다는 추상적인 개념으로 표현하는 것이 좋고, 인터페이스나 조회 설정 함수만으로는 추상화가 이뤄지지 않는다. 개발자는 객체가 포함하는 자료를 표현할 가장 좋은 방법을 심각하게 고민해야 한다.

자료/객체 비대칭

객체는 추상화 뒤로 자료를 숨긴 채 자료를 다루는 함수만 공개한다. 자료구조는 자료를 그대로 공개하며 별다른 함수는 제공하지 않는다. 객체과 자료구조는 근본적으로 양분된다.

자료구조를 사용하는 절차적인 코드는 기존 자료구조를 변경하지 않으면서 새함수를 추가하긴 쉽다. 객체지향 코드는 기존 함수를 변경하지 않으면서 새 클래스를 추가하기 쉽다. 즉, 객체 지향 코드에서 어려운 변경사항은 절차적인 코드에서 쉬우며, 절차적인 코드에서 어려운 변경은 객체지향 코드에서 쉽낟.

디미터 법칙

모듈은 자신이 조작하는 객체의 속사정을 몰라야 한다.

기차충돌

여러 함수 chaning해서 한줄로 쓰는 코드 -> 조잡하니 피하는 편이 좋다.

잡종 구조

절반은 객체 절반은 자료구조인 잡종 구조 -> 되도록 피하는 것이 좋다.

자료 전달 객체

DTO(자료 전달 객체): 굉장히 유용한 구조체로, db에서 저장된 가공되지 않은 정보를 코드에서 사용할 객체로 변환하는 단계에서 가장 처음으로 사용하는 구조체.

결론

우수한 소프트웨어 개발자는 편견없이 상황에 따라 직면한 문제에 최적인 해결책을 선택한다.

  • 새로운 자료타입을 추가하는 유연성이 필요하면 -> 객체 사용
  • 새로운 동작을 추가하는 유연성이 필요하면 -> 자료구조와 절차적인 코드 사용

#노개북 #노마드코더 #개발자북클럽